16mm and Super 8 to digital, color, sound, 25 min., 2025
In 1928, the Korean newspaper Dong-A Ilbo published a brief article introducing a scene from the Hollywood silent film Get Your Man (1927), starring the popular actress Clara Bow. The article bore the paradoxical title “Umjigiji-Anneun Yeonghwa (A Motionless Movie)”. According to the writing, Clara Bow’s character meets the male protagonist for the first time at a wax museum in Paris. However, the countless wax figures in the scene were not mannequins but dozens of actors, who all confront the camera perfectly ‘motionless’. The only moving presence in the frame was Clara Bow herself.
Two years later, Bow filmed her first sound film, The Wild Party (1929), directed by Dorothy Arzner. To allow Clara Bow to move more freely in front of the camera while recording sound simultaneously, Arzner devised a device now known as a boom microphone, suspending a mic from a fishing rod.
The essay film A Motionless Movie, which shares the same title as the exhibition, imagines the perspective of Korean women reading the domestic/women’s pages of newspapers carrying Hollywood news in the 1920s and ’30s, and loosely traces Clara Bow’s trajectory across these pages. Her constant presence under descriptors such as “the quintessential Modern Girl” or “the typical flapper,” followed by her sudden disappearance after marriage and childbirth, prompts reflection not only on her movement within film but also on what it means to be free in front of the camera and in the gaze of the press.
1928년 『동아일보』에는 인기 배우 클라라 보우가 주연한 할리우드 무성영화 < 당신의 남자 (Get Your Man, 1927) >의 한 장면을 소개하는 짤막한 기사가 실렸다. 이 기사에는 “움즉이지안는영화 (움직이지 않는 영화)”라는 역설적인 제목이 붙었다. 기사에 따르면, 영화 속에서 클라라 보우가 연기하는 인물은 파리의 밀랍인형 박물관에서 남자 주인공을 처음 만난다. 그런데 이 장면에 등장하는 수많은 밀랍인형은 실제 마네킹이 아니라 수십 명의 엑스트라 배우들로, 그들은 완벽하게 ‘움직이지 않는’ 상태로 카메라를 마주한다. 이 장면에서 유일하게 움직이는 존재는 클라라 보우 한 사람뿐이다.
2년 뒤, 클라라 보우는 도로시 아즈너 감독과 함께 그녀의 첫 유성영화 < 와일드 파티 (The Wild Party, 1929) >를 찍는다. 도로시 아즈너는 클라라 보우가 동시 녹음을 하면서도 카메라 앞에서 보다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낚싯대에 마이크를 매달아 오늘날 붐 마이크라고 불리는 장치를 고안하여 사용했다.
전시와 같은 제목의 에세이 필름 < 움즉이지안는영화 >는 1920~30년대 할리우드 소식이 실리던 신문의 가정·부인란을 읽던 당시의 조선 여성들의 시선을 상상하며, 신문 속 클라라 보우의 궤적을 느슨하게 따라간다. “모던 걸의 대통령”, “전형적 플래퍼(flapper)”와 같은 수식어와 함께 끊임없이 지면에 등장하다가, 결혼과 출산을 기점으로 돌연 사라지는 그녀의 모습은, 단지 영화에서만이 아니라 언론 매체의 카메라 앞에서 움직인다는 것, 카메라 앞에서 자유롭다는 것이 무엇인지 다시 생각하게 한다.